K1 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1 전차는 1970년대 북한의 T-62 전력 증강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이 개발한 주력 전차이다. 1980년대 미국 크라이슬러 디펜스(현 제너럴 다이내믹스)의 기술 협력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방호력, 기동성, 화력 면에서 레오파르트 2나 M1 에이브람스 수준을 목표로 했다. 1987년부터 양산되어 1,027대가 배치되었으며, K1A1, K1E1, K1A2 등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통해 현대전에 대응하고 있다. K1 전차를 기반으로 구난전차, 교량전차, 전투공병차 등의 파생형도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차 - K1A1 전차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 중 하나인 K1A1 전차는 K1 전차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성능 향상 개량형인 K1A2가 존재하고 K-600 신형 전투공병전차의 기반이 되기도 했으나 초기 생산분에는 에어컨과 양압장치 미비 문제가 있었다. - 대한민국의 전차 - K2 흑표
K2 흑표는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로, 1999년부터 개발되어 2014년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3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1,500마력 엔진으로 시속 70km/h의 속도를 내고, 120mm 활강포와 자동 장전 장치, C4I 기능 등을 갖춘 전차이다. - 3세대 전차 - 아리에테
아리에테는 이탈리아 육군이 운용하는 3세대 주력전투전차로, 120mm 활강포와 복합 장갑, 우수한 화력통제시스템, 1,300마력의 엔진을 탑재했으며, 현재 수명 연장을 위한 현대화 개량 사업이 진행 중이다. - 3세대 전차 - K1A1 전차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 중 하나인 K1A1 전차는 K1 전차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성능 향상 개량형인 K1A2가 존재하고 K-600 신형 전투공병전차의 기반이 되기도 했으나 초기 생산분에는 에어컨과 양압장치 미비 문제가 있었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방 관련 군정 및 군령, 기타 군사 사무를 관장하며, 대통령의 명을 받아 합동참모의장과 각 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에 관한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 K1 전차 | |
|---|---|
| K1 전차 정보 | |
![]() | |
| 명칭 | K1 |
| 종류 | 주력전차 |
| 형식명 | K1 / K1A1 |
| 용도 | 대전차전 |
| 개발국 | 대한민국, 미국 |
| 개발사 | 크라이슬러, 현대로템, 제네럴다이내믹스 |
| 배치 | 1987년 |
| 개발년도 | 1985년 |
| 생산기간 | 1985년 ~ 1997년 |
| 사용국가 | 대한민국 |
| 실전투입 | 없음 |
| 개량형 | K1E1 전차, K1E2 전차 (개량 예정), K1A1 전차, K1A2 전차 |
| 계열 차량 | K1 구난전차 K1 지뢰제거로켓발사기 탑재차량 K1 교량전차 K600 신형 전투공병전차 |
| 생산량 | 1027대 |
| 승무원 | 4명 |
| 크기 | |
| 전체 길이 | K1: 9.67m K1A1: 9.71m |
| 차체 길이 | 7.47m |
| 전체 폭 | 3.60m |
| 전체 높이 | 2.25m |
| 중량 | K1: 51.1톤 K1A1: 53.2톤 |
| 기동 | |
| 현가 방식 | 유기압/토션바 병용 |
| 최고 속도 | 정지: 65km/h 야지: 40km/h |
| 항속 거리 | 440km |
| 무장 | |
| 주무장 | K1: K68 51구경 105mm 강선포(47발) K1A1: KM256 44구경 120mm 활강포(32발) |
| 주포 개발사 | 로열 오드넌스 (KM68A1 - WIA 면허생산) 라인메탈 (KM256 - WIA 면허생산) |
| 사용 포탄 | K1, K1E1, K1E2: APAM, HESH(HEP), APFSDS-T, HEAT-MP, HEAT-FS K1A1, K1A2: APFSDS-T, HEAT-MP |
| 부무장 | 12.7mm 중기관총 M2×1(2,000발) 7.62mm 기관총 M60E2×2(8,600발) |
| 탑재량 | 105mm 강선포: 47발 120mm 활강포: 32발 |
| 장전 방식 | 수동 장전 |
| 유효 사거리 | 105mm 강선포: 2,500m 120mm 활강포: 3,500m |
| 탄약 수 | 7.62mm 6,000발 (동축기관총 포함), 12.7mm 1,500발 |
| 사격 통제 장치 | |
| 사격 통제 장치 | K1: GPS (레이시온 & Ti) 포수조준경, SFIM (현 SAGEM) 차장조준경 K1A1: KGPS (현 한화 탈레스), KCPS (삼성 탈레스) |
| 장갑 및 방어 | |
| 장갑 | K1: 복합 장갑(차체 전면 및 포탑 전면), 공간 장갑(측면) K1A1: 복합 장갑 |
| 장갑 방식 | 복합장갑 |
| 방어 수단 | 연막탄 발사기 |
| 엔진 및 구동 | |
| 엔진 | MTU MB871 Ka-501 4사이클 V형 8기통 액랭식 터보차지드 디젤 |
| 마력 | 1,200 hp |
| 출력비 | K1: 23.5hp K1A1: 22.0hp |
| 변속 | 전진 4단, 후진 2단 (ZF LSG 3000) |
| 등판 능력 | 60도 |
| 장애물 통과 | 1.0m |
| 도하 능력 | 2.2m (도하 키트 장착 시) |
2. 개발
K1 전차 개발은 대한민국과 북한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던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조선인민군 육군이 T-62 전차를 대량 보유하면서, M48 패튼을 주력으로 운용하던 한국군은 전력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미국에 M60 패튼 라이선스 생산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고, 서독과의 협력도 무산되면서 미국의 신형 전차 M1 에이브람스와 유사한 성능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 전차 개발을 결정했다.
1982년부터 제너럴 다이내믹스 지상부문(GDLS)이 개발을 담당하여 한국 지형에 맞게 소형화를 진행했다. 1984년 4월에는 2대의 시험용 전차가 제작되어 미국 디트로이트 셀프릿지 주 공군 기지에서 공개되었다.[67][68] 이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사격통제장치와 현수장치를 개량하고, 독일제 1200마력 디젤엔진을 면허 생산하여 대체하는 등 추가적인 개발을 거쳐 1985년부터 양산에 들어갔다. 1987년부터 1997년까지 총 1027대가 양산되어 4개 기계화보병사단과 3개 기갑여단에 배치되었다.[66]
K1 전차는 M1 에이브람스의 설계를 많이 참고했지만, 한국의 산악 지형에 맞춰 경량화와 기동성을 높였다. 또한 유압식 HSU와 토션 바를 결합한 서스펜션을 채택하여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유리한 전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29]
K1 전차는 초기형 M1 에이브람스와 유사한 3세대 전차 초기형의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이후 개량을 통해 주포 구경 증대, 복합 장갑 교체, C4I 기능 강화 등이 이루어졌다. K1 시리즈는 총 1,500대 이상 생산되어 한국군 보유 전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력 전차이다.[30][54]
1990년대에는 북한의 T-72 도입 정보(후에 오보로 밝혀짐)와 걸프 전쟁의 교훈으로 K1의 성능 개량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120mm 활강포를 탑재한 K1A1 개발이 시작되었고, 2001년부터 실전 배치되었다. 이후 K1E1, K1A2, K1E2, K1A3 등 지속적인 성능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K1 전차 개발 배경
1970년대 초, 조선인민군 육군이 T-62 전차를 대량 보유하고 있다는 첩보가 대한민국에 입수되면서 큰 안보 위협으로 떠올랐다. 당시 한국군의 주력 전차는 M48 패튼이었으나, T-62에 비해 성능이 뒤떨어졌다.[66] 이에 박정희 정부는 미국에 M60 패튼의 라이선스 생산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66] 서독과의 협력을 통한 신형 전차 개발도 추진했으나, 미국이 1975년 7월 ROKIT 사업 제안을 제시하면서 무산되었다. 결국, 대한민국은 당시 미국의 신형 3세대 전차인 M1 에이브람스와 유사한 성능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 전차 개발 사업을 1975년 7월에 확정지었다.그러나 당시 대한민국은 이러한 고성능 전차를 독자적으로 설계할 기술과 경험이 부족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육군은 미국 크라이슬러 디펜스사(현 GDLS)와 협력하여 M1 에이브람스를 기반으로 한국형 전차를 설계하고 개발하기로 1976년에 합의했다.
1982년부터 제너럴 다이내믹스 지상부문(GDLS)이 개발을 담당하여 한국 지형에 맞게 소형화를 진행했다. 1984년 4월에는 2대의 시험용 전차가 제작되어 미국 디트로이트 셀프릿지 주 공군 기지에서 공개되었다.[67][68] 이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사격통제장치와 현수장치를 개량하고, 독일제 1200hp 디젤엔진을 면허 생산하여 대체하는 등 추가적인 개발을 거쳐 1985년부터 양산에 들어갔다. 1987년 210대를 시작으로 1997년까지 총 1027대가 양산되어 4개 기계화보병사단과 3개 기갑여단에 배치되었다.[66] 초기형 가격은 23억원, 후기형인 로트(LOT)4형 가격은 35억원이었다.
K1 전차는 M1 에이브람스의 설계를 상당 부분 계승했지만, 한국의 산악 지형을 고려하여 경량화와 기동성을 높였다. 또한 유압식 HSU와 토션 바를 결합한 서스펜션을 채택하여 자세 제어 기능을 통해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유리한 전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29]
2. 2. K1 전차 개발 과정
1982년부터 제너럴 다이내믹스 지상부문(GDLS)이 개발을 담당하면서 한국 지형에 맞게 소형화가 이루어졌다.[67] 1984년 4월, 2대의 시험용 전차가 제작되어 미국 디트로이트 셀프릿지 주 공군 기지에서 열린 축하식장에서 첫선을 보였다.[68] 나머지 개발 요소는 한국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개발하면서 사격통제장치와 현수장치를 개량하고, 개발 과정 중 미국제 1200마력 디젤 엔진에 문제가 발생하자 독일제 1200마력 디젤 엔진을 면허 생산하여 대체하는 조치를 취했다.[66] 1985년 이후 양산이 진행되어 1987년 210대를 실전 배치되었고, 1986년부터 1997년까지 총 1,027대가 양산되어 4개 기계화보병사단과 3개 기갑여단에 배치되었다. 초기형 가격은 23억 원, 후기형인 로트(LOT)4형 가격은 35억 원이었다.1987년 9월 18일, 전두환 대통령(당시)은 신형 전차를 "88전차"로 발표했다. 명명 이유는 "역사적인 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념하는 동시에, 올림픽을 방해하려는 북한의 책동을 분쇄하려는 확고한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33]
2. 3. K1A1 전차 개발
1990년대 초, 한국은 북한이 T-72 전차를 대량으로 수입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이는 오보로 밝혀졌다). 이 정보와 걸프 전쟁의 전차전 교훈은 기존 전차의 성능 향상 및 신형 전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따라 K1 전차의 105mm 강선포로는 T-72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왔다. K1에 120mm 포를 탑재하면 기동성 저하, 포탄 탑재 수 감소, 거주성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했지만, K2 전차 개발 난항에 대비한 보험으로 개발이 추진되었다.ADD 주도로 K1 성능 향상 설계를 시작하여, 120mm 포 탑재를 위해 포탑을 새로 설계했다.[7] 이와 함께 특수 장갑 KSAP(Korean Special Armor Plate), FCS, 포수 조준경 등 주요 부품 개발도 시작했다. 1992년, ADD는 K1 전차용 포수 조준경 개발에 착수, 1996년 라만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장착한 KGPS를 완성했다.[58] KGPS는 K1A1 시제 차량에 탑재되어 시험을 거친 후 채택되었다.[36]
1996년, K1A1 시제 차량이 출고되어 시험 평가를 거쳤고, 1998년 6월 전투 적합 판정을 받아 양산이 시작되었다. 2001년 12월 육군 20사단을 시작으로 배치가 시작되었으며, K1A1 양산 시작 시점의 국산화율은 67%였다. K1A1의 가격은 1대당 44억원이었다.
2. 4. K1 계열 전차 성능 개량 (K1E1, K1A2, K1E2, K1A3)
K1E1은 2014년부터 K1 전차를 기반으로 성능을 개량한 전차이다. K1A2는 K1A1 전차를 기반으로 성능을 개량한 전차이다. K1E1/A2는 C4ISR 기능을 강화하여 아군과의 정보 공유 능력이 향상되었다.[38]2024년부터 K1E2로의 현대화 개수가 예정되어 있다. K1E2는 장갑재를 신형으로 교체하고, 엔진 마력을 강화하거나 신형 엔진으로 교체하는 등 대폭적인 개량이 이루어질 예정이다.[40] 또한, 노후화된 포수 조준경을 K2 전차와 동등한 신형으로 교체할 예정이다.[41][42]
K1A3는 K1A2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된 성능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주야간 상황 인식 능력을 높이고, 신형 대전차 미사일에 대한 방호력을 강화하며, 엔진 출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43][44] 2022년에는 1360마력의 K1A3용 신형 엔진이 공개되기도 했다.[45][46]
| 변형 | K1 | K1E1 | K1A1 | K1A2 |
|---|---|---|---|---|
| 주포 | K68 105mm L51 강선포 (47발) | KM256 120mm L44 활강포 (32발) | ||
| 취역 | 1988년~ | 2014년~ | 2001년~ 2022년 | 2014년~ |
| 생산량 | 1,027대 | 484대 | ||
| 차장 잠망경 | VS-580 | KCPSA1 | KCPS | |
| 포수 잠망경 | 초기형 445대 GPSS 후기형 582대 GPTTS | KGPS | ||
| 주장갑 | M1 전차용 SAP[14] | KSAP 복합 장갑 | ||
| 전장 × 전폭 × 전고(m) | 9.67m×3.6m×2.25m | 9.71m×3.6m×2.25m | ||
| 중량 | 51.1ton | 51.5ton | 53.2ton | |
| 최고 속도 | 65km/h | 60km/h | ||
| C4ISR | 무선 통신 | 적아 식별 장치 자기 위치 및 적 목표 공유 기능 | 무선 통신 | 적아 식별 장치 자기 위치 및 적 목표 공유 기능 |
K1 전차는 영국 로열 오드넌스의 L7 105mm 강선포를 미국에서 면허생산한 M68A1 강선포를 다시 한국에서 면허생산한 KM68A1 105mm 강선포를 채택했다.[69] 사격통제장치는 360도 전면 감시가 가능한 SFIM(현 SAGEM) 차장 조준경과 정확한 조준이 가능한 GPS(레이시온 & Ti) 포수 조준경을 갖추고 있다. 엔진은 독일제 1200마력 수랭식 4행정 디젤엔진 (MTU Mb871 Ka-501)을 사용하며 최고속력은 65km/h이다. 유도륜과 1, 2번 보기륜과 6번, 기동륜에 유기압 현수장치가 있어 전차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69]
3. 설계
초기 K1 전차의 방어력은 M1 에이브람스 전차의 복합장갑을 직수입[70]하여 KE 기준 전면 400 ~ 500mm 수준이었다. 측면은 RPG-7 기본탄(CE 350mm) 방호가 가능했다. 이후 국방과학연구소 등에서 SAP를 국산화했고, 불곰사업 등을 통해 얻은 기술로 국산 복합장갑을 개량한 신형 KSAP는 포탑 전면 기준 K276 날탄에 대한 대응 방어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69] K1A1 전차에는 개량형 KSAP가 적용되었으며, K1 전차도 창정비 등을 통해 신형 KSAP를 장착하여 KE 기준 600mm ~ 700mm으로 방호력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K1A1과 비슷한 수준이다. K-1E1에서는 K2 흑표의 기술을 적용하여 사통장치 등을 증대시켰다.[69]
3. 1. 화력
K1/K1E1은 영국의 로열 오드넌스 L7 105mm 강선포를 한국에서 면허 생산한 KM68A1을 주포로 사용한다.[69] K1A1/A2는 독일 라인메탈사의 120mm 활강포(KM256)를 면허 생산하여 사용한다.[5][4] 유효사거리는 약 2000m이다.[6]
초기 K-270 APFSDS탄은 1.5km ~ 2km 거리에서 370mm의 관통력을 가졌으나, 북한이 T-72를 보유했다는 정보에 따라 1.5km ~ 2km에서 450 ~ 470mm 관통력을 가진 K-274가 개발되었다. 최근 개발된 K274N 날탄은 2km에서 510mm, 최대 560mm급의 관통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69]
차장용 조준경은 SFIM(현 SAGEM) 제품으로 360도 전면 감시가 가능하며, 포수용 조준경은 GPS(레이시온 & Ti) 제품으로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다. K1A1/A2는 삼성탈레스(현 한화시스템[8])제 KCPS(Korean Commander's Panoramic Sight)[56][7]를 장착, 2세대 열상 센서를 갖추고 360도 회전 가능하며, 고저각은 ±35도, 주야겸용 3배/10배 전환식이다. K1/K1E1 후기형 582대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사(방위 사업은 현 레이시온)제 GPTTS(Gunner's Primary Tank Thermal Sight)[7]를 삼성전자에서 라이선스 생산[10], 열상 기능이 있다. K1A1/A2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58], 삼성탈레스에서 제조하며 열상 기능을 가진 KGPS(Korean Gunner's Primary Sight)[7][57]를 사용한다. 포수 조준경은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야간 및 악천후 상황에서도 표적을 정확하게 탐지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
부무장으로 주포 동축에 7.62mm M60E2 기관총, 장전수 해치에 7.62mm M60D 기관총, 차장용으로 12.7mm K6 중기관총을 장착하고 있다. 포탑 전면에는 6연장 연막탄 발사대가 설치되어 있다.[4]
| 변형 | K1 | K1E1 | K1A1 | K1A2 |
|---|---|---|---|---|
| 주포 | K68 105mm L51 강선포 (47발) | KM256 120mm L44 활강포 (32발) | ||
| 차장 잠망경 | VS-580 | KCPSA1 | KCPS | |
| 포수 잠망경 | 초기형 445대 GPSS 후기형 582대 GPTTS | KGPS | ||
3. 2. 방호력
K1/K1E1은 초기 M1 에이브람스 전차의 복합장갑을 직수입[70]하여 사용했으며, KE 기준 전면 400~500mm 수준의 방호력을 제공했다. 측면은 RPG-7 기본탄(CE 350mm) 방호가 가능했다. 이후 국방과학연구소 등에서 SAP를 국산화하고, 불곰사업 등을 통해 얻은 기술을 바탕으로 신형 KSAP 복합장갑을 개발했다. KSAP는 K276 날탄에 대한 대응 방어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69]개량형 KSAP는 K1A1 전차 후기 생산분에 적용되었고, K1 전차도 창정비 등을 통해 신형 KSAP를 장착하여 KE 기준 600mm~700mm 수준으로 방호력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K1A1과 비슷한 수준이다. K-1E1에서는 K2 흑표의 기술을 적용하여 사통장치 등을 증대시켰다.[69]
2016년 기사에 따르면, K1 후기 생산분의 복합장갑은 현대로템이 독자 개발했으며, 전면 장갑이 600mm 급으로 발전했다. 이는 600mm 이상 ~ 최대 700mm를 의미한다. KSAP가 K276 날탄(2.5km 600mm, 2km 650mm 관통)에 대한 대응 방어를 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있다.[69]
K1 전차는 NBC(핵, 생물학, 화학) 방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M8A1 경계 시스템과 M13A1 가스 제거 입자 필터로 구성된다.[4] 엔진실 및 승무원실에는 자동 할론 화재 진압 장치 및 화재 감지 장치를 갖추고 있어 승무원의 생존성을 높였다.[4]
3. 3. 기동력
STX엔진에서 면허 생산하는 MTU사의 1200마력 MB871 Ka-501 디젤 엔진과 현대트랜시스에서 면허 생산하는 ZF사의 SLG 3000 변속기(전진 4단, 후진 2단)를 탑재하고 있으며, K1 전차의 0~32km/h까지 가속 시간은 9.4초이다.1번, 2번, 6번 로드 휠에 유압식 현가 장치를, 나머지 3번, 4번, 5번 로드 휠에는 토션 바를 장착하여 토션 바와 유압식 현가 장치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현가 장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俯仰각(피칭각)을 +20도~-10도까지 확보할 수 있다.
K1 전차는 전면 경사 60%, 측면 경사 30%까지 등판이 가능하며, 높이 1m의 수직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다. 너비 2.74m의 참호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수중도하 장비를 장착하면 최대 2.2m 깊이의 강을 도하할 수 있으며, 장비 없이도 1.2m 수심까지 도하가 가능하다.
4. 파생형
K1 전차를 기반으로 한 여러 파생형이 개발되어 대한민국 국군에서 운용 중이다.
; K1 구난전차 (ARV)
K1 전차를 기반으로 크레인과 도저를 장착한 구난전차로 1993년에 실전 배치되었다.[63][29]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독일 크루프사(현 라인메탈)와의 공동 개발로 개발되었다.
; K1 교량전차 (AVLB)
K1 전차 차체에 접이식 교량을 탑재한 교량전차로, 1995년에 실전 배치되었다.[4][62] 1989년 초, 대한민국은 영국의 비커스사(현 BAE 시스템즈)에 전차교(AVLB) 시스템과 탑재할 교량 부분 시제품의 설계·제작을 의뢰하였다. 전차교 및 설치 시스템은 현재 BAE 시스템즈의 뉴캐슬 어폰 타인 공장에서 제작된 후 대한민국으로 이송되어 1990년에 현대 로템에서 설계·제작한 K1 전차 차체에 장착되어 시험을 거쳤다. 개발된 전차교는 치프틴 AVLB와 유사한 접이식 교량을 장착한 것으로, 22m의 교량으로 최대 20.5m의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93년 말, 대한민국은 현 BAE 시스템즈에 K1 AVLB용 전차교를 공급하는 23000000GBP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계약은 8개의 교량과 41개의 설치 시스템을 영국에서 제작하고, 현대 로템이 K1 AVLB의 차체에 탑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종적으로 대한민국은 K1 AVLB 56대를 배치하기 위해 나머지 교량과 설치 시스템을 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대한민국에서 제작하였다.
전차교 설치에는 3분, 회수에는 10분이 소요되며, 최대 설치 가능 고도 차는 2.4m이다. K1 AVLB의 총중량은 53.7ton (교량 부분 무게 12.9ton), 주행 시 크기는 길이 12.56m×폭 4m×높이 4m, 교량 자체의 무게는 12.9ton이다. 중량 제한은 MLC66급이다. K1 AVLB에는 승무원용 에어컨이나 히터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 여름은 물론 겨울에는 매우 힘들다는 승무원들의 의견이 있다.
; K600 전투공병차
K1A1/A2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된 전투공병차량으로, 2019년에 실전 배치되었다.[29][64] 차체 전면에 대형 도저와 장애물 통과 위치 표시 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다. 지뢰, 낙석, 바리케이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지뢰 제거용 플라우와 자기 지뢰 무력화 장치에 의한 지뢰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5. 문제점 및 사고
; 변속기 문제[51][47][48]
: 2011년 6월, 지식경제부(장관급 부처)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은 현대트랜시스(구 현대다이모스)가 라이선스 생산하는[22] ZF사의 SLG 3000 변속기에 중대한 결함이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를 방위사업청과 감사원에 보고하여 K1A1 전차의 생산이 일시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검사 과정에서 K1A1 전차가 주행 중 좌우로 이동할 때 전차에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 문제의 원인이 변속기의 조향 방식에 있다고 결론지었다.
: 한국기계연구원은 감사원 자료를 바탕으로 K1계열 전차가 주행거리 1000km 미만에서 15대, 1000~3000km에서 60대, 3000~5000km에서 56대, 5000~7000km에서 43대, 7000km 이상에서 15대가 고장 났다고 분석하여, “조향 내구 기초시험 중 출력 우측 베어링과 팬 하우징이 파손되었다”, “변속기 자체 설계에 결함이 있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변속기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명확해지면 전부 리콜(회수·수리)한다”는 조건으로 전차를 배치해 왔기 때문에, 전 차량 리콜 가능성이 대두되는 상황이 되었다.
: 이에 대해 현대트랜시스는 “주행거리 계산이 잘못되었으며, 25년 동안 팬 하우징 파손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며, “한국기계연구원이 실시한 내구 시험은 전차용 엔진과 다른 모터로 시험하는 등 시험 방법에 문제가 있으며, 시험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고, 방위사업청은 “야전 정비 등으로 해결 가능한 수준이며, 변속기를 전부 리콜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 한국기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일련의 고장 문제는 LSG 3000 변속기 도입 시 신뢰성을 검증하는 절차 없이 채택했기 때문이며, 이탈리아군이 아리에테 전차에 채택한 동일 명칭의 변속기는 한국 도입 후 10년에 걸쳐 구조, 기능, 형상이 근본적으로 수정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9].
: 방위사업청은 K1A1 전체에 대해 육군 주관으로 가동 시험한 결과, 가동률은 97.8%이며, 한국기계연구원이 주장하는 변속기로 인해 발생한 고장은 2011년까지 지난 10년간 운용 중인 전차에서 발생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50].
; 포신 파열 사고[51]
: K1 전차는 1985년(시제품) 1회, 1987년(초기 양산) 2회, 1991년, 1994년, 2002년 각 1회, 2009년 2회, 2010년 1회 총 9회의 포신 파열 사고를 일으켰다.
: 원인은 포신 내 이물질 유입이 7건, 포신 내부에 포신을 닦는 헝겊이 남아 있던 것이 1건, 2010년의 1건은 2010년 당시 조사 중이었다.
; 엔진 화재 사고[51]
: 2009년 9월, 10월 및 2010년 6월 18일에 3회의 유출로 인한 엔진 화재 사고 발생
: 화재는 엔진과 연료 탱크 사이에 위치한 커플링 장치의 이음새에서 기름이 새어 나온 것이 원인이며, 국산품과 수입품의 규격이 다른 부품 간에 제대로 맞물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당 부품에 대해 수입품과 국내 제작품의 혼용 금지 조치가 취해졌다.
; 화재 감지기 오작동
: 2011년 6월에 실시된 포격 훈련 중, 제30사단 소속 K1A1 전차가 좌측으로 포를 회전시키자, 화재 감지기 센서가 오작동하여 화재 진압용 할론 가스가 자동으로 차내에 방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국방부가 조사한 결과, 2010년 12월 30일 이후, 장착하는 화재 감지기를 미국산에서 한국산으로 변경했는데, 그때 불꽃 감지 거리를 미군 규격보다 길게 한 탓에 센서 감도가 예민해졌다. 따라서 포탑을 좌측으로 회전시켜 사격하면 화재 감지기 센서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1년 8월, K1A1 중 97대가 자동 소화기 결함으로 리콜되었다.[52][53].
6. 평가 및 의의
M1 에이브람스의 설계를 많이 계승하였으나, 산악 지대 전투를 상정하여 경량화 및 기동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유압식 HSU와 토션 바의 하이브리드 서스펜션을 채용하여 자세 제어 기능을 통해 높은 俯仰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험준한 산악 지대에서 차체를 은폐한 할다운 사격이나 고지에 대한 고앙각 사격을 통한 전투 수행이 가능하다[29].
K1 시리즈 원형은 FCS 제어의 105mm 라이플포, 초기형 복합 장갑 장비 등 초기형 M1 에이브람스와 유사한 3세대 전차 초기형의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현대화 개수를 통해 주포 구경 증대, 복합 장갑 교체, C4I 기능 강화 등이 이루어졌다.
시리즈 총 생산량은 1,500대가 넘으며, 약 2,200대의 한국 보유 전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력 전차이다[30][54].
| 변형 | K1 | K1E1 | K1A1 | K1A2 |
|---|---|---|---|---|
| 주포 | K68 105mm L51 라이플포 (47발) | KM256 120mm L44 활강포 (32발) | ||
| 취역 | 1988년~ | 2014년~ | 2001년~ 2022년 | 2014년~ |
| 생산량 | 계 1,027대 | 계 484대 | ||
| 차장 잠망경 | VS-580 | KCPSA1 | KCPS | |
| 포수 잠망경 | 초기형 445대 GPSS 후기형 582대 GPTTS | KGPS | ||
| 주장갑 | M1 전차용 SAP[14] | KSAP 복합 장갑 | ||
| 전장 × 전폭 × 전고(m) | 9.67m×3.6m×2.25m | 9.71m×3.6m×2.25m | ||
| 중량 | 51.1ton | 51.5ton | 53.2ton | |
| 최고 속도 | 65km/h | 60km/h | ||
| C4ISR | 무선만 | 적아 식별 장치 자기 위치 공유 기능 적 목표 공유 기능 등 | 무선만 | 적아 식별 장치 자기 위치 공유 기능 적 목표 공유 기능 등 |
참조
[1]
논문
지상전투의 핵심 한국형 K-1 전차
https://koreascience[...]
1995-05-01
[2]
간행물
K1전차/K1E1전차(성능개량)
https://www.hyundai-[...]
현대로템
[3]
간행물
K1A1전차/K1A2전차(성능개량)
https://www.hyundai-[...]
현대로템
[4]
서적
IHS™ Jane’s® Land Warfare Platforms Armoured Fighting Vehicles
https://planesandstu[...]
2013-2014
[5]
뉴스
Hyundai Rotem completes production of latest batches of K1A2 and K2 MBTs
https://www.janes.co[...]
JANES
2022-01-30
[6]
간행물
K2 / K1A1
http://www.hyundai-w[...]
현대위아
[7]
뉴스
K1A2 전차 성능 개량
http://www.defenseto[...]
Defense Today
2020-03-29
[8]
간행물
Hanwha Systems
https://www.hanwhasy[...]
Hanwha Systems
[9]
뉴스
「단독 / 레이더P」 육군 주력전차 10대중 2대 포수조준경 고장…부품 없어 최장 8년 무력화
https://www.mk.co.kr[...]
MK뉴스
2020-10-12
[10]
뉴스
육군납품 포수조준경 GPTTS 제품성능 문제없다...삼성전자
https://www.hankyung[...]
hankyung
1993-09-06
[11]
블로그
Early M1 Abrams composite armor
https://below-the-tu[...]
[12]
보고서
SPECIAL ARMOR SECURITY CLASSIFICATHION GUIDE
https://web.archive.[...]
[13]
보고서
K계열 전차 장갑의 성능개량 필요성과기술추세
http://kidet.or.kr/w[...]
한국방위기술연구소
2020-11
[14]
잡지
Armor, November-December 1996 Edition - Fort Benning
https://www.benning.[...]
1996-11-12
[15]
보도자료
포스코에도 BTS가 있다
https://newsroom.pos[...]
포스코
2020-07-23
[16]
뉴스
「방산 현장을 가다」⑥ 명품 전차 반열에 우뚝 'K2'... 현대로템을 가다
https://web.archive.[...]
Chosunbiz
2016-10-10
[17]
뉴스
「단독」 北 신형 대전차 미사일 ‘불새5’ 우리軍 전차 다 뚫는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2-09-27
[18]
간행물
M13A1 FILTER SYSTEM
https://www.hdtgloba[...]
HDT Global
[19]
간행물
MB871
http://www.stxengine[...]
STX엔진
[20]
간행물
MTU-Defense-brochure
https://svf-internat[...]
MTU
[21]
간행물
MB871 KA-501
http://www.army-guid[...]
Army Guide
[22]
간행물
Automatic Transmissions for Combat Vehicles
https://www.hyundai-[...]
HYUNDAI TRANSYS
[23]
간행물
LSG 3000 transmission
http://www.army-guid[...]
Army Guide
[24]
Youtube
K1A1포사격
https://www.youtube.[...]
[25]
Youtube
10월 3일 20사단 결전부대 안보체험행사 K1A1 기동/사격시범 ROKA K1A1 Maneuvers/Firepowers Demonstrations
https://www.youtube.[...]
[26]
Youtube
K1A1, K2 BLACK PANTHER TANK 흑표전차 최초공개 시범
https://www.youtube.[...]
[27]
Youtube
2014-10-03 20기보사 K1A1 & K2 기동
https://www.youtube.[...]
[28]
뉴스
K1 주력전차
https://kookbang.dem[...]
국방홍보원
2020-04-23
[29]
뉴스
K1/K1A1 “88 전차”
https://bemil.chosun[...]
조선일보
2019-08-29
[30]
뉴스
방산수출 지원과 정부기관 간 약정
https://kookbang.dem[...]
국방홍보원
2020-11-16
[31]
뉴스
K1 전차, 美 허가 안하면 수출 못한다?…‘3대 조건’ 족쇄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20-12-10
[32]
뉴스
<焦點> 國監 쟁점 상위위-1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4-10-10
[33]
뉴스
뉴스데스크 전두환 대통령 한국형 88전차 명명식「윤종보」
https://imnews.imbc.[...]
MBC NEWS
1987-09-18
[34]
뉴스
K1A1/K1A2 전차
https://kookbang.dem[...]
국방홍보원
2022-01-28
[35]
서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육해공군
'#' #URL이 없으므로 '#'로 [...]
[36]
뉴스
國會 국정감사 계속(종합)
https://n.news.naver[...]
聯合ニュース
1994-10-07
[37]
간행물
차세대 戰車 ‘흑표’ 생산하는 현대로템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08-10
[38]
웹사이트
K1E1 전차
https://kookbang.dem[...]
국방홍보원
2020-04-22
[39]
블로그
K1전차의 완벽한 변신! 현대로템 창정비 기술의 모든 것
https://blog.hyundai[...]
현대로템
2019-07-18
[40]
웹사이트
K1E1/A2 전차 성능 개량의 의미,목적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19-11-20
[41]
뉴스
한화시스템, K1E1 전차에 K2 수준 포수조준경 장착한다
https://www.econovil[...]
Economic Review
2021-12-28
[42]
웹사이트
육∙해∙공 대한민국 지키는 한화의 차세대 기술력
https://www.hanwha.c[...]
한화
2022-01-28
[43]
뉴스
「김대영의 무기 인사이드」 軍, 미래전 대비해 K1A2 전차 성능개량 본격화
https://nownews.seou[...]
now news
2020-03-29
[44]
웹사이트
South Korea planning to upgrade RoKA’s K1A2 MBTs
https://web.archive.[...]
JANES
2020-04-06
[45]
웹사이트
STX엔진, 2022 DX KOREA(대한민국 방위산업전) 참가
http://www.stxengine[...]
STXengine
2022-09-21
[46]
뉴스
STX엔진, K1A2 전차 성능 개량용 1360마력 엔진 선보인다
https://m.nocutnews.[...]
노컷뉴스
2022-09-21
[47]
뉴스
韓国軍:主力戦車K1A1ピンチ、全てリコールも 機械研「変速機に重大欠陥」、防衛事業庁・監査院に既に通報
https://archive.is/f[...]
조선일보
2011-06-11
[48]
뉴스
K계열 전차 변속기 6년간 291대 결함
http://m.naeil.com/m[...]
내일신문
2011-07-04
[49]
뉴스
(국감)K1계열 전차 변속기 결함 이유 있어
https://m.anewsa.com[...]
아시아뉴스통신
2011-09-26
[50]
웹사이트
조선일보 “한국군 주력전차 K1A1도 비상..전량 리콜될수도” 보도 관련 청 입장자료
https://www.dapa.go.[...]
방위사업청
2011-06-09
[51]
뉴스
[주력무기 K계열 무엇이 문제인가]①현대로템의 K1, K1A1전차
https://cm.asiae.co.[...]
아시아경제신문
2011-04-14
[52]
웹사이트
K1A1 전차, 왼쪽으로 포 쏠때마다 내부에서 소화 가스가
http://news.chosun.c[...]
2018-05-02
[53]
웹사이트
K1A1전차 97대 리콜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1-08-17
[54]
웹사이트
Hyundai Rotem to produce third batch of K2 main battle tanks for South Korean army
https://www.armyreco[...]
Army Recognition
2020-12-27
[55]
웹사이트
Armor Research Division
https://archive.md/d[...]
Samyang Comtec
[56]
웹사이트
KCPS
http://www.army-guid[...]
Army Guide
[57]
웹사이트
KGPS
http://www.army-guid[...]
Army Guide
[58]
뉴스
「e-무기」미국산 불량품 고치다 탄생한 한국형 전차의 '눈'
https://www.edaily.c[...]
E Daily
2016-04-23
[59]
웹사이트
KBCS
http://www.army-guid[...]
Army Guide
[60]
웹사이트
첨단을 더해 더 강해진 전투력 K1E1
https://v.daum.net/v[...]
국방홍보원
2019-01-17
[61]
웹사이트
IronVision
https://elbitsystems[...]
Elbit Systems
[62]
웹사이트
K1 AVLB
https://www.hyundai-[...]
현대로템
[63]
웹사이트
K1 ARV
https://www.hyundai-[...]
현대로템
[64]
웹사이트
K600 CEV
https://www.hyundai-[...]
현대로템
[65]
백과사전
K1전차 별명의 유래
[66]
뉴스
自力防衛時代의 문턱 드러난 撤軍補完 윤곽
경향신문
1977-07-27
[67]
뉴스
尹국방, 韓國形 전차 始製品 나와
매일경제
1983-12-08
[68]
웹사이트
현대로템 주요연혁 1970 ~ 1990년대
https://www.hyundai-[...]
현대로템
[69]
웹사이트
K21-105형 미국시장에 진출한다
[70]
블로그
K1 전차 방호력 분석 및 M1 에이브람스 전차와의 비교
https://blog.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